여름학교

컴퓨터 그래픽스 여름학교

달력 아이콘 2025년 7월 8일(화) - 9일(수)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주최로 2025년 7월 8일~9일에 걸쳐 제12회 컴퓨터 그래픽스 여름학교를 개최합니다. 본 여름학교는 2025 한국컴퓨터그래픽스 학술대회와 연계 개최되어, 학술대회를 참여하는 연구자들이 컴퓨터 그래픽스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2025. 07. 08 (화)

13:00-14:00 등록/간식
14:00-16:30 [그랜드 볼룸] AI 기반 컴퓨터 그래픽스/비전 기술은 어떻게 알츠하이머 정밀의료에 활용될 수 있는가?
(성준경 교수, 고려대학교)
16:30-16:45 휴식
16:45-19:15 [그랜드 볼룸] Personalized 3D Human Avatar Generation and Real-Time Animation from a Single Image
(문경식 교수, 고려대학교)
19:15-19:30 휴식
19:30~ 웰컴파티

2025. 07. 09 (수)

09:30-12:00 [그랜드 볼룸] Generative Modeling for Photorealistic 3D Digital Humans
(주한별 교수, 서울대학교)
12:00-13:00 중식 (카페테리아)
AI 기반 컴퓨터 그래픽스/비전 기술은 어떻게 알츠하이머 정밀의료에 활용될 수 있는가?
강사: 성준경 교수 (고려대학교)
3차원 형상 모델링 또는 처리 기법은 컴퓨터 그래픽스/비전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온 기술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진단·예후 예측을 위해 환자의 뇌 MRI 영상분석을 통한 대뇌피질 수축 등 형상 변화 감지와 AI 기반 환자 분류 기술이 중요하며,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한 개인 맞춤 치료 과정에서도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이 핵심 역할을 합니다. 본 강의에서는 최신 연구 사례를 통해 알츠하이머 정밀의학의 트렌드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활용 방안을 살펴봅니다.
연사소개
  • 2018~현재, 고려대학교 바이오의공학부 인공지능학과 교수
  • 2013~2018, 고려대학교 부교수
  • 2010~2012, 숭실대학교 조교수
  • 2008~2010, KAIST 연구교수
Personalized 3D Human Avatar Generation and Real-Time Animation from a Single Image
강사: 문경식 교수 (고려대학교)
단일 이미지로부터 개인의 얼굴, 체형, 의상 등 외형 정보를 정밀하게 보존한 3D 아바타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옷의 움직임을 포함한 실시간 애니메이션과 비디오를 제작하는 최신 기술을 다룹니다. 표현 학습, 신경 렌더링, 포즈 제어, 텍스처 복원, 생성 기반 비디오 모델 등 폭넓게 소개하며, 단순한 복제 수준을 넘어 개인화된 디지털 휴먼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연사소개
  • 2025~현재,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조교수
  • 2024,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조교수
  • 2022~2024, Postdoctoral Research Scientist, Reality Labs Research at Meta
  • 2022, 서울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2015~2021,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박사
  • 2011~2015, 포항공과대학교 학사
Generative Modeling for Photorealistic 3D Digital Humans
강사: 주한별 교수 (서울대학교)
사실적인 3차원 디지털 휴먼을 복원하고 생성하는 최신 방법론을 탐구합니다. 2D 영상으로부터 사람의 키포인트를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3차원 모션과 외형을 복원하며, 생성형 모델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의 동작 생성 기술을 함께 학습합니다.
연사소개
  • 2022~현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
  • 2019~2022, Research Scientist, Facebook AI Research (FAIR)
  • 2018, 카네기멜론대학교 박사
  • 2009~2012, ETRI 연구원
  • 2009,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 석사
  • 2007, KAIST 전산학 학사
TOP